
서론batch 모드는 상용 LLM 서비스에서 일반적으로 제공하는 여러 개의 요청을 묶어 보내면 천천히 처리해서 결과를 돌려주는 대신 비용을 반으로 줄여주는 서비스입니다. 보통 LLM을 활용한 서비스를 만들때 성능평가를 하거나, LLM을 활용한 데이터셋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합니다.Gemini 모델이 성능이 상당히 좋아졌습니다. 이제는 대부분의 상용 LLM 성능을 압도하고 있고, 또 같은 성능의 GPT 모델보다 가격도 훨씬 저렴합니다. 이러한 이점으로 Gemini를 써보고 싶은데 구글의 문서화는 항상 어지럽습니다..... batch의 경우에는 코드로 정리해둔 글도 없길래, 직접 열댓번 날려보면서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 정리했습니다.gemini batch 모드 공식 문서 이 글에서는 jsonl 파일로 syste..

web에서는 box-shadow의 inset 속성을 추가해 안쪽 그림자를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box-shadow: inset 10px 5px 5px gray;React Native의 경우에는 지금까지 inset을 기본으로 지원해주지 않아서 다른 라이브러리react-native-inner-shadow를 사용하기도 했으나,0.76 버전 이후에는 boxShadowValue object를 통해 inset을 줄 수 있게 되었다.예시코드는 다음과 같다.import { View, Text } from "react-native";export default () => { return( 출발 시간 );}

프론트엔드에서 백엔드로 데이터를 보낼 때는 HTTP 프로토콜을 따라 요청을 보내야 합니다.이때 전송하는 데이터의 형식(MIME Type)을 Content-Type이라는 HTTP 헤더를 통해 명시해야 합니다. MIME Type이란, 인터넷에서 전달되는 파일 또는 바이트 집합의 성격과 형식을 정해둔 것 입니다. 쉽게 말해, 회사에서 문서를 작성할 때 기획 문서는 기획서 양식, 성과 보고서는 성과 보고서 양식에 맞춰 제출하는 것과 비슷한 개념입니다.이 글에서는 많이 쓰는 Content-Type 세 가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전송 방식Content-Type비고application/x-www-form-urlencodedform의 전송 기본값key=value 형식으로 전송multipart/form-data파일 업로드..
2024년을 기준으로 (제가) 자주 쓰는 React 프로젝트 세팅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대부분 카테캠(카카오테크캠퍼스)에서 배운것을 따왔어요.기회가 된다면 CIL로 자동세팅해주는 툴도 만들어보고 싶네요. 제가 유지보수할 자신은 없지만..도구 선택, 프로젝트 구조 convention 등은 정답이 없습니다. 다양하게 써보고 편한게 있다면 그걸 사용해봅시다개요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다 귀찮다면 그냥 이 github 레포 clone해서 쓰세요빌드 툴(vite) 세팅project structure 구성style 도구 선정빌드 툴(vite) 세팅vite 세팅에 대한 공식문서vite 선택 이유CRA 사용해보셨나요? 아마 2023년도쯤 React 공부를 시작하거나, 그 즈음 자료를 보고 공부하시는 분이라면 npx cr..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고 실습을 해보는 목적. 다음과 같은 기초지식을 실제로 활용해봅니다.자료형 관련 유용한 라이브러리for/whileif/else/삼항연산자class에러 띄우기파일입출력외부 라이브러리 사용annotation언어를 배우면서도 실제로 어디에 쓰이는지 헷갈리는 사람, 스스로 프로그램을 짜는 논리력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사람, PS 입문을 하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힙니다.대상: 파이썬 기본 문법을 배운 사람(자료형, 변수선언 및 사용, if, for/while)(파이썬 관련 기본서를 쭉 읽고 오는 것을 추천)PS 입문은 앞부분, 실전은 외부 라이브러리 사용.기본서에서 배울 수 없는 소소한 팁이나 언어관련 재밌는 이야기도 알려줄 예정입니다.실습은 각각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목표/관련 개념:..